Udori
2024-02-24 11:00      views : 1306
Modified At : 2024-02-24 11:02
부스트릭스 백일해 주사 예방접종 시기와 부작용

27주에서 36주 사이 맞으려고 권장하는 백일해 주사도 남편과 맞고 왔습니다.
백일해 주사는 부스트릭스와 아다셀이 있습니다.
부스트릭스는 65세 이상 맞을 수 있도록 승인 받은 더 안전한 주사입니다.
아다셀은 65세 이상 승인을 못 받아서 젊은 사람들만 맞을 수 있는 주사입니다.
내가 다니는 병원에서는 부스트릭스가 있어서 부스트릭스를 맞았습니다.



백일해 란?
감염된 호흡기 질환으로 전파력이 매우 강한 전염병입니다.
보르데텔라에 속한 백일해균은 호흡기 염증을 일으켜 심한 기침발작을 유발하며, 이러한 증상은 수주간 지속될 수 있습니다.
합병증 (폐렴, 경련, 뇌손상)을 일으켜 사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가장 취약한 연령은 태어난지 2개월 미만의 영아에게 가장 치명적입니다.
영아는 보통 생후 2개월 전까지는 백일해 백신 접종을 시작하지 않기 더 치명적 입니다.

백일해 증상은?
백일해 초기 증상으로는 감기와 비슷한 결막염, 기침, 발열 등이 발생하며 잠복기는 보통 4일 ~ 20일 정도입니다. 이후 4~8주간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전염력이 강력합니다.
콧물, 결막역, 눈물, 기침, 발열들이 나타나고 기침이 심해지면 얼굴이 벌겋게 오르고 눈이 충혈이 되고, 구토와 가래가 나올 수 있습니다.

영아 백일해 증상 예방 방법
임산부의 임신 3기 (27주에서 36주) 예방접종을 통해 영아 초기의 백일해에 대한 수동면역을 합니다. 즉, 임산부가 맞으면 항체가 태아에게 전달되어 백일해 예방이 됩니다.

백일해 주사 예방 접종 시기
영아의 백일해 예방을 위해 임산부와 영아를 접하는 사람에게 백일해 주사(Tdap 백신)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임산부 : 임신중인 경우 임신 27~36주 혹은 분만후 신속한 접종을 권장합니다.
아빠(남편), 가족들(할머니, 할아버지), 육아도우미 : 영아와 밀접하게 접촉하기 2주 전까지 백일해주사 1회 접종을 권장합니다.
> 영아 백일해의 주 감염원인은 엄마, 아빠, 형제, 자매, 조부모 등 가족들이라 백일해 백신 접종력이 없는 영아와 밀접한 접촉이 예상되는 사람들은 모두 백일해 주사를 접종해야 합니다.

백일해 주사 (부스트릭스) 란?
부스트릭스는 T(파상풍), d(디프테리아), ap(백일해)를 예방하는 Tdap백신이다.
파상풍 : 파상풍균은 신경 독성 물질을 분비하여 근육을 마비시키고, 연하곤란(삼킴장애), 기도폐색, 전신 과반사 등을 일으켜 사망에 이를 수도 있습니다.
디프테리아 : 디프테리아균은 인두와 편도에 염증을 일으켜 호흡장애를 일으키며, 심한 경우에는 기도폐색, 심근염이 발생하고, 심지어 사망에 이를 수도 있습니다.
백일해 : 백일해균은 호흡기 염증을 일으켜 심한 기침발작을 유발하며, 이러한 증상은 수주간 지속될 수 있습니다.
또한, 폐렴, 경련, 뇌손상 등의 합병증을 일으켜 사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성인은 파상풍, 디프테리아 예방을 위해 주기적인 백신 접종이 권장이 됩니다.
부스트릭스는 영유아 시기에 소아용 DTap 권장 접종 일정을 일정대로 모두 마친 만 10세 이상의 청소년 및 성인을 대상으로 추가 접종하며 10년 후 재접종 할 수 있습니다.

백일해 주사 예방 접종 후 주의 사항
접종 일은 목욕, 음주, 무리한 활동, 무리한 운동을 피하고 충분한 휴식을 취하십시요.
접종 부위를 긁거나 만지지 마시고 청결하게 유지하시고 접종부위 밴드는 1시간 후 제거해 주세요.
접종 후 경미한 이상반응으로 접종 부위가 아프거나 빨갛게 되고 부을 수 있으며 대부분 일주일 이내 사라집니다.
예방 접종 후 고열, 호흡곤란, 두드러기, 현기증 등이 나타나면 즉시 의사의 진료를 받으십시오.
> 팔 상단 팔 위쪽에 맞는 주사라 편하게 옷을 입고 가시는 걸 추천합니다. 고열이 나면 타이레놀을 먹으라고 하셨다.

백일해 주사 부작용
사람에 따라 부작용이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습니다.
사람에 따라 고열, 겨드랑이 통증, 몸살기운, 오한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접종 일은 맞은 부위가 뻐근할 수 있고, 목욕, 음주, 무리한 활동, 무리한 운동을 피하고 충분한 휴식을 취해야 합니다.



Comments    

There are no comments yet.